FRN(Floating Rate Notes, 변동금리부채권)
- 일반적인 고정금리 채권과 달리 이자를 계약당시의 약속된 기준금리 지표에 연동시켜 변동하는 채권
- 통상 기준금리는 런던은행 간 대출금리인 LIBOR가 사용됨(FRN은 기본적으로 금리 하락기에 발행자에게 유리)
- 외화채권 발행 시 외국환거래법상 US$ 3백만 초과 차입 시 기재부 사전신고 必
- FRN의 장점으로는
· 공모 사채 발행 대비 조달의 소요기간이 짧고, 수요 예측, 발행 공시 등이 불필요한 장점 有
· 발행 관련 비용은 이해 당사자 간 협의가 가능하여, 유연성을 가짐
· 국제금융시장에서의 외화채권 발행 경험이 기업의 대외신인도 상승에 긍정적 영향(주관적생각)
[Process]
→ 발행기업은 외화시장에서(홍콩 등) 변동금리채권을 사모 발행하여 외화를 조달하고
→ 은행을 통해 해당 채권에 지급보증을 제공(자체적으로 가능할 경우 제외)
→ 주간사인 투자은행은 채권 총액 인수 후 해외투자자에게 매각
→ 필요 시 발행기업은 통화스왑(CRS) 체결하여, 원화로 조달 가능
'Work&Study,' 카테고리의 다른 글
(투자) 나는 오늘도 경제적 자유를 꿈꾼다 (0) | 2021.01.14 |
---|---|
(투자) 주택담보대출 적격대출 (2) | 2020.12.03 |
(경제/경영) 기한전의 채무변제의무(기한이익상실) (0) | 2020.01.03 |
(경제/경영) TRS(Total Return Swap, 총수익스왑) (0) | 2020.01.02 |
(경제/경영) RCPS(상환전환우선주) (0) | 2019.12.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