Work&Study,

(경제/경영) TRS(Total Return Swap, 총수익스왑)

Hsuk 2020. 1. 2. 10:21

 

TRS(Total Return Swap, 총수익스왑)

- TRS는 기초자산에서 발생하는 수익/위험을 Swap하는 파생거래상품으로, 법적 소유권과 자산 소유에 따른

  실제 사용 권리분리시키는 효과 발생

 · TRS매수자는 기초자산에 대한 투자를 통해 법적 소유권을 보유함과 동시에 TRS매각자로부터 약정수수료 수취

 · TRS매각자는 법적 소유권을 제외한 일체의 사용 권리를 보유함으로써, 기초자산의 위험에 대해 책임 부담

- 기업 입장에서는 자본 확충, 자금 조달 측면에서 유인이 높고,

- 투자자 입장에서는 기초자산 하락에 대한 Risk를 회피하며 일정 수준의 고정 수익(약정수수료)를 기대할 수 있음

 

※ 단 최근 TRS는 계열사 지원, 지주사 행위 제한 회피 등의 목적으로 사용이 많아 공정위의 이슈 제기 多